요즘 가장 핫한 작가라고 말할 수 있는 이슬아 작가가 쓴 첫 장편소설 ‘가녀장의 시대’는 가부장도, 가모장도 아닌 가녀장이 주인공인 이야기다. 자수성가로 집안을 일으킨 한 여성의 이야기는 이 시대에 혁명이 될 수 있다. 그 줄거리와 결말 명구절을 정리해 보았다.
가녀장의 시대 줄거리 및 결말
‘태초에 가부장이 있었다’라는 말로 웅장한 서문을 여는 이슬아 작가의 가녀장의 시대는 용맹하고도 애틋한 딸이 자수성가하고 경제권과 주도권을 쥐고 자신과 가족들의 운명을 바꿔가는 이야기입니다.
할머니, 할아버지, 엄마, 아빠, 남동생과 함께 살았던 어린 시절의 ‘슬아’는 상인이었던 할아버지의 피를 물려받아 낮잠 출판사의 사장이 됩니다. 그렇게 글쓰기 하나로 돈을 벌기 시작하는 슬아는 엄마와 아빠를 당당히 직원으로 고용하고 딸이 아닌 직장상사로 살아가게 됩니다. 그리고 딸 슬아는 직장상사로써 가부장제 기업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임금과 보너스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 식사와 계절음식을 준비하는 엄마에게 된장 보너스와 김치 보너스 등을 지급하고 집안일과 식사에 대한 정당한 노동값을 지급합니다. 낮잠 출판사에서 잡다한 다양한 일을 담당하는 아빠에게도 응당 해당 일에 대한 보너스가 지급되기도 하죠. 하지만 집안일을 더 많이 하는 엄마가 급여를 더 많이 받는다고 합니다.
소설이지만 소설이 아니라고 할 수 있는 이 ‘가녀장의 시대’는 실제로 ‘헤엄 출판사’를 설립, 운영하며 함께 가족들이 일을 하고 있기 때문인데 이야기를 읽으면서 그 모습들이 자연스레 상상이 가서 더 재밌게 읽을 것 같습니다. 대표라고 거들먹거리지도, 딸이라고 편하게 대하지 않고 일할 때는 존대를 쓰며 깎듯이 대하는 이 가족들 얼마나 귀엽고 수평적인가. 누군가는 이 책이 페미니스트를 위한 책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저 새로운 가족의 형태를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가녀장의 시대에서 이슬아 작가가 말하고 싶은 건 비건과 노브라, 동성애과 가부장이 아닌 소수의 삶에 대해 집중해 보자는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당연하지만 당연하게 여기지 않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들. 가볍지만 파보면 가볍지 않은 이야기로 유쾌하지만 그 참된 뜻이 아름다운 책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겠다.
가녀장의 시대 명구절
- 슬아는 개미처럼 글을 쓰면서도 된장은 담글 줄 모른다. 복희는 글을 쓸 줄은 알지만 그걸 하느니 차라리 된장을 담그겠다고 말할 것이다. 복희의 엄마 존자는 된장 담그기에 도가 텄지만 글을 읽고 쓸 줄 모른다. 각자 다른 것에 취약한 이들이 서로에게 의지한 채로 살아간다.
- 글을 쓰고 싶게 만든 자들은 셀 수 없이 많았다. 좋은 너. 미운 너. 미안한 너. 축하받아 마땅한 너. 이상한 너. 아름다운 너. 다만 운이 좋지 않았을 뿐인 너. 동물인 너. 죽은 너. 잊을 수 없는 너. 그런 너를 보고 듣고 맡고 만지고 먹고 기억하는 나. 문학의 이유는 그 모든 타자들의 총합이다.
- 한 고생이 끝나면 다음 고생이 있는 생이었다. 어떻게 자라야 겠다고 다짐할 새도 없이 자라 버리는 시간이었다. 고단한 생로병사 속에서 태어나고 만난 당신들. 계속해서 서로를 살리는 당신들. 말로 다할 수 없는 생명력이 그들에게서 엄마를 거쳐 나에게로 흘러왔다. 알 수 없는 이 흐름을 나는 그저 사랑의 무한반복이라고 부르고 싶다. 이들이 나의 수호신들 중 하나였음을 이제는 알겠다.
- 이런 이야기를 TV에서 보고 싶다고 생각하며 썼습니다. 작은 책 한 권이 가부장제의 대안이 될 수는 것입니다. 그저 무수한 저항 중 하나의 사례가 되면 좋겠습니다.
- 슬아는 면발을 들이키며 집안 여자 어른들의 얼굴을 떠올렸다. 나도 커서 며느리가 되나. 엄마를 보면 고생길이 훤한데. 아니면 할머니가 되나. 할머니는 딱히 중요한 일을 하고 있지 않은데. 문득 할아버지의 얼굴을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그는 건강했고, 자신 있었고, 가진 것도 많았다. 슬아가 아는 모든 어른들은 모두 그의 말을 따랐다. “저는 사장님이 되고 싶어요.”
- 나도 친절한 사람이 좋아. 하지만 친절은 덤 같은 거예요. 당연하게 요구할 수는 없어.
- “모두들아. 난 다 썼다.” “대표님 수고하셨습니다.” 그러고선 자기들끼리 중얼거린다 “역시 성공한 애는 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