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명구절 (2021)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19세기 어느 과학자의 삶을 흥미롭게 쫓아가는 이야기로 삶과 사랑과 과학과 철학을 담은 이야기로 더 나아가 신념이 우리를 어떻게 지탱하는지와 어떻게 유애함으로 번질 수 있는지 까지 알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자세한 줄거리와 결말, 명구절을 정리해 봤습니다.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줄거리 및 결말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저자 룰루 밀러가 데이비드 스타 조던이라는 어류학자에 대해 조사하면서 알게 된 사실들로 전개되는데요. 데이비드 스타 조던은 어릴 적부터 ‘분류’하는 것을 좋아했다고 합니다. 다양한 것들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그중 어류에 대해 엄청난 호기심을 가지는데요. 그 능력을 살려 새로운 종을 발견하고 그 종류를 분류하는 것에 대한 일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렇게 어류학자가 된 데이비드 스타 조던. 그는 다양한 풍파를 겪게 되는데 가족을 잃기도 하고 그동안 수집하고 분류한 애지중지 어류들이 자연재해로 인해 엉망진창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런 풍파를 겪을 때마다 데이비드 스타 조던은 확고한 믿음을 가지게 되는데요. 

룰루 밀러는 이런 영웅적 이야기와 대단한 그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파해치다 상반되는 안 좋은 이면까지 발견하게 되며 세상에 알립니다. 스탠퍼트 대학의 총장이었던 데이비드 스타 조던은 한 교수와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그 이름은 ‘제인’이었습니다/ 어느 날 사이가 좋지 않던 제인은 의문의 죽음을 겪게 되는데, 사인은 독극물로 인한 것이라고 판명되었으며 룰루 밀러는 이 이야기를 더 파게 됩니다. 결국 룰루 밀러는 제인이 먹었던 독극물이 데이비드 스타 조던이 가장 어렵고 힘든 물고기를 잡을 때 사용하던 약품과 동일한 것임을 알게 되며 의문을 가지게 되는데요. 그 이후에도 계속된 조사 중 그 그가 우생학을 주장하던 학자였음을 알게 됩니다.

우생학이란 장애인, 성소수자 등 자신이 분류한 기중에서 열성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강제 불임을 주장했고 실제로 이 강제 불임은 20세기부터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기도 하죠. 데이비드 스타 조던은 우성학을 주장하며 많은 사람들의 자유와 권리를 빼앗는데 일조 한 사람이었다는 것인데요. 이 부분만 봤을 땐 그가 벌을 받고 힘든 시기를 겪어야 하는 게 맞겠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데이비드 스타 조던은 사랑하는 사람들 품에 둘러싸여 평온한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심지어 그가 죽은 후 그의 아내가 그를 기리는 작은 파티를 준비했는데 그곳에만 수백 명이 다녀갔다고 하죠. 어쩌면 세상은 불공평하다고 느낄 수 있지만 마지막에 큰 발견을 하게 됩니다. 그가 그렇게 한평생을 바쳐 연구하고 몰두했던 어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요. 조류, 포유류, 양서류는 존재하지만 ‘어류’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충격적인 사실. 이 책의 제목처럼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데이비드 스타 조던이 일생을 살며 바쳤던 업적의 어류는 ‘분류’라는 전제 자체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마치 우생학처럼 말입니다.

물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명구절

  • 자신의 미래가 낙관적일 거라고 믿는 사람들에게는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혜택이 따른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상당히 많다. 이러한 낙관론은 긍정적인 기분을 유지하게 해 주며, 미래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도록 동기를 불어넣고,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일을 하도록 북돋우고, 자신의 운명을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을 안겨준다. 
  • 좀처럼 잡히지 않는 가장 성가신 물고기를 잡을 때 그가 가장 즐겨 쓰는 방법은 뭘까? 바로 독이다. 
  • 데이비드는 자신이 지구상에서 제거해버리고 싶은 종류의 사람들 – 빈민들과 술꾼들, 백치들과 천치들, 바보들, 도덕적 타락자들-을 모두 모아 적격자와 반대되는 부적합자라는 한 범주에 몰아넣었다. 그것은 어떤 사람들이 살 자격이 있는가에 관한 그의 의견에 과학의 망토를 둘러줄 수 있는 단어였다. 
  • 한 종을 강력하게 만들고, 그 종이 미래까지 지속하게 해 주며, 혼돈이 홍수, 가뭄, 해수면, 상승, 기온 급변, 경쟁자, 약탈자, 해충의 침략 등의 가장 강력한 형태의 타격을 가해올 때도 그 종이 버틸 수 있게 해주는 것, 바로 변이다. 
  • 긍정적 착각이 순전히 좋은 결과만을 가져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과도한 자신감을 가진 이의 자기 과시는 다른 사람 들어 소외시켜서 결국 평판이 나빠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단기적으로는 더 행복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그들의 평온 지수가 급감한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한다. 
  • 데이비드 스타 조던은 어려서부터 자신의 취향을 정확히 알았다. 자신의 꿈을 찾을 기회가 왔을 때 놓치지 않았고 살면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맞닥뜨리게 되는 위기에서 끝없이 좌절하지 않았고 살아가려고 노력했다. 자기 자신에 관용과 관대함을 자랑스러웠다. 과연 그 과잉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가.